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메달이미지

갤러리

NLP교육에서 밀턴모델 언어사용(간접 트랜스유도)하여 깊은 트랜스상태로 유도중인 구만호박사님(NLP1단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9-13 17:43

본문

NLP교육에서 밀턴모델 언어사용(간접 트랜스유도)하여 깊은 트랜스상태로 유도중인 구만호박사님(NLP1단계)


밀턴 모델은 밀턴 에릭슨이 특징적으로 사용했으므로 밴들러와 그린더는 ‘밀턴 모델’이라고 불렀다. 밀턴 모델에서는 정보의 삭제가 매우 중요하다. 말하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말함으로써 듣는 사람이 그 말을 이해하려면 자신의 경험 중에서 가장 적당한 의미를 찾아낼 수밖에 없게 만들어 트랜스 유도에 효과적이다.


밀턴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어떤 것을 전제로 하여 얘기를 하면, 겉으로는 선택권을 주는 것 같이 보이면서도 - 더욱 중요한 것은 - 실제로는 움직일 수 없는 사실로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밀턴 모델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특정한 반응을 얻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도 있다. 숨겨진 명령(잠입명령), 숨겨진 질문(잠입질문) 등과 같이 보다 커다란 문장 속에 어떤 명령이나 질문을 감추어 둠으로써 듣는 사람이 의식하지 못한 채 그런 명령이나 질문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모호함’이 있다. 하나의 문장이나 구절 또는 말이 한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을 때, 모호함이 생겨난다. 닮은 소리(발음)를 내지만, 의미가 다른 말을 구사한다든지, 구두점의 애매함을 이용한다든지 하면 메시지를 듣는 사람은 내적으로 나름대로의 자의적인 내용으로 받아들여 처리하게 된다.


밀턴 모델(모호화 모형)의 여러 기법들은 의식적인 마음을 분산시키는 말을 사용하여 우세반구를 혼란시키려는 방법인데, 여기에서 얘기하는 ‘모호함’도 그 하나이다.


밀턴 모델의 마지막 패턴은 ‘은유’이다. 간단한 비유(직유) 외에 예화, 우화 등도 NLP에서는 은유에 포함된다. 은유를 사용함으로써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를 의식하여 생각하거나 직접적인 감정의 영향 없이 자신의 문제나 상황을 정리한다든지, 새로운 선택을 찾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5183378b2af936824b0fd968aacf152_1757753014_9507.jpg
 


하단로고

CopyrightⒸ국제심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